뉴스 제대로 뽀개기

“이게 과일값 폭등의 진짜 이유?” 가락시장 도매법인, 수익만 챙긴 구조적 특혜

노말제로 2025. 4. 25. 12:48
728x90
반응형

 

소비자는 금값 과일, 도매상은 18% 순익 증가…이대로 괜찮은가



“과일값 왜 이렇게 비싸?”…그 돈, 도대체 누가 가져갔을까

사과 한 개, 배 한 알에 만 원을 훌쩍 넘기던 지난해.

마트 앞에서 한숨을 쉬며 돌아서는 소비자,

늘어난 경작 비용에도 겨우 손해만 면하는 농민들.

 

하지만 놀랍게도, 그 와중에도 유통 중간 단계인 도매법인들은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서울 가락시장 5대 도매법인은 순이익 18% 상승, 영업이익률은 무려 22%에 달했습니다.

 

이건 단순히 장사가 잘 됐다는 수준을 넘어서는 구조적 특혜입니다.

생산자도, 소비자도 고통받는 농산물 유통.

그 중심에는 수수료 장사로 배당금 잔치를 벌이는 도매법인이 있었습니다.


■ 왜 매년 도매법인만 이익을 보는가?

 

1. 유통구조, 이미 ‘기울어진 운동장’

 

유통 흐름

현재 농산물은 다음과 같은 유통 구조를 따릅니다.

생산자 → 도매시장(도매법인) → 중도매인 → 소매업체 → 소비자

출처 입력

도매법인은 거래 금액의 4~7%를 ‘수수료’로 떼 갑니다.

즉,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 오를수록 위험은 생산자가, 이익은 도매법인이 가져가는 구조입니다.

항목
2024년
2023년
증감률
총매출
1,886억 원
1,700억 원
+11%
영업이익
417억 원
356억 원
+17%
당기순이익
379억 원
321억 원
+18%
평균 영업이익률
22%
-
-

2. 누가 이 법인을 소유하고 있나?

서울청과 – 고려제강

중앙청과 – 태평양개발(아모레퍼시픽 창업주 일가)

동화청과 – 신라교역(원양어업)

대아청과 – 호반건설

한국청과 – 서울학원 일가의 컨설팅사

 

💬 “도매시장 운영사가 과일 장사도, 농사도 안 짓는 철강·건설사라는 게 말이 됩니까?” – 소비자 반응


■ 농민은 땀 흘리고, 소비자는 눈물 흘린다

‘사과 금값’ 된 이유, 이상기후만이 아니다

 

1. 2024년 농산물 대란

폭염·장마 등 이상기후로 인해 작황이 줄면서 과일·채소 가격이 폭등했지만,

정작 이익은 생산자에게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도매법인은 수수료 비율만큼 자동으로 이익을 챙기기 때문입니다.

 

2. 소매업체와 비교해도 이례적인 고수익

대형마트의 영업이익률은 1% 미만(이마트 0.7%, 롯데마트 0.9%)

반면 도매법인은 무려 22%.

 

어디가 실물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것일까요?


■ 개혁은 시작됐지만, 갈 길은 멀다

 

정부의 대책은 미흡…법 개정이 핵심

 

1. 온라인 도매시장 성과

2023년 출범한 온라인 도매시장은 거래액 6,737억 원,

유통비용 7.5%포인트 절감, 농가 수취가 3.6% 증가 등 긍정적 성과를 냈습니다.

정부는 1조 원 규모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2. 도매법인 평가제 도입

5~10년 단위로 법인을 재평가해 재지정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했지만,

지난 40년간 단 한 번도 법인이 바뀐 적은 없습니다.

 

3. 법 개정만이 답이다

전문가들은 입을 모읍니다.

“현재는 도매법인이 책임 하에 농산물을 매입하지 않고

위험은 농민에게, 이익은 자신들에게 떠넘기고 있다”

‘농안법’(농수산물유통및가격안정법) 개정 없이는 구조적 해결이 어렵습니다.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제는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왜 우리 과일값은 매년 오르기만 하고,

왜 농민과 소비자는 늘 손해만 보는 걸까요?

 

그 정답은 ‘도매시장 유통 독점 구조’라는

비정상적 시스템 안에 있었습니다.

 

국민 식탁에 오르는 농산물의 가치를

특정 기업의 배당금 수익으로 변질시키는 구조,

지금이라도 반드시 바로잡아야 하지 않을까요?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돌아가야 할 몫,

이젠 제대로 유통돼야 합니다.

  

 

 

 

#가락시장도매법인 #과일값폭등이유 #유통구조개혁 #농민은적자소비자는부담 #수수료장사논란 #도매법인순익18% #농안법개정필수 #농산물유통개편 #도매시장개혁 #소비자고통 #생산자이익환원 #유통독과점폐해 #도시락논란같은구조 #농민의땀헛되지않게 #농산물유통공정화 #농산물온라인시장 #가락시장개혁 #도매법인배당금 #공공시장사유화 #정부대응늦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