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윤석열탄핵
- 트럼프무역정책
- 경북산불
- 배달의민족
- 표현의자유한계
- 트럼프관세폭탄
- 오블완
- JTBC사건반장
- 이재명대통령공약이행
- 기계안전불감증
- 민주주의위기
- 탄핵심판
- 식약처적발
- 살인미수혐의
- 김건희의혹
- skt유심해킹
- 티스토리챌린지
- 의성산불
- 2030내집포기
- 자영업자눈물
- 집행유예논란
- 국민이만든대통령
- 소비자기만
- 김건희수사불응
- 정신건강사각지대
- 헌법재판소
- 포스테코글루경질
- 윤석열파면
- 월드컵예선
- 황당사건실화
- Today
- Total
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흉기 들고 뛰쳐나왔다”…문 열리는 순간, 경찰은 이미 준비돼 있었다 본문
· 경북 구미 아파트, 흉기든 남성 112 신고 접수
· 현관문 열리자 돌진…경찰, 테이저건 발사로 제압
· 현행범 체포·구속 송치…“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이 정도면 영화가 아니라, 현실의 위기였습니다.”

경북 구미의 한 아파트.
흉기를 든 남성이 현관문을 열고 경찰을 향해 달려든 그 순간.
찰나의 판단, 그리고 훈련된 대응이 아니었다면
누군가는 크게 다쳤을 수도 있었습니다.
■ “흉기 들고 돌아다녀”…112 신고로 시작된 사건
1) 사건 발생: 5월 9일 구미
한 통의 신고 전화였습니다.
“한 남성이 흉기를 들고 아파트 단지를 돌아다닌다.”
경찰은 즉각 출동했고,
관리사무소와 협조해 남성의 거주지 확인까지 마쳤습니다.
그 다음은, 말 그대로 '일촉즉발'이었습니다.
■ 현관문이 열리자, 그는 흉기를 들고 튀어나왔다

경찰은 조심스럽게 문을 두드렸습니다.
그리고 문이 열리는 순간,
남성은 흉기를 든 채 경찰을 향해 돌진했습니다.
하지만 경찰은 테이저건을 준비한 채 대기 중이었고,
즉각 발사하여 남성을 제압했습니다.
💬 “한 치의 망설임도 없었습니다.”
그들은 ‘예상’했고, 그래서 ‘막을 수 있었습니다’.
■ 공권력은 침착했다…결과는 ‘현행범 체포’
해당 남성은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현장에서 현행범 체포됐고,
이후 구속 송치됐습니다.
경찰은 당시의 긴박했던 상황을
보디캠 영상으로 남겨두었고,
이는 JTBC <사건반장>에서 공개 방송되었습니다.
🚨 만약 준비가 없었다면?

경찰의 행동은 단순한 ‘대응’이 아니었습니다.
철저한 예측, 침착한 판단, 그리고
무엇보다 공공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대응이었습니다.
그 순간 흉기를 든 남성은 '위협'이 아니라 '현실'이었고,
공권력은 그 현실 앞에서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 “공권력은 절대 무너지면 안 된다”
이 사건은 말합니다.
위험은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
예상하고 준비한 사람만이 지킬 수 있다고.
그날의 경찰처럼,
우리가 사는 일상도 누군가의 신중한 대응 덕분에 지켜지고 있는 건 아닐까요?
#구미흉기난동 #테이저건제압 #경찰보디캠 #현행범체포 #공권력대응 #사건반장보도 #112신고대응 #특수공무집행방해 #구속송치 #흉기돌진남 #공공안전 #위기대응훈련 #현관앞테러 #경찰예측대응 #한치의망설임도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