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트럼프관세폭탄
- 경북산불
- JTBC사건반장
- 김건희의혹
- 2030내집포기
- 기계안전불감증
- 윤석열탄핵
- 탄핵심판
- 의성산불
- 트럼프무역정책
- 이재명대통령공약이행
- 식약처적발
- 자영업자눈물
- 소비자기만
- skt유심해킹
- 윤석열파면
- 헌법재판소
- 민주주의위기
- 김건희수사불응
- 황당사건실화
- 월드컵예선
- 표현의자유한계
- 배달의민족
- 티스토리챌린지
- 집행유예논란
- 오블완
- 정신건강사각지대
- 살인미수혐의
- 포스테코글루경질
- 국민이만든대통령
- Today
- Total
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젊은 세대는 싫어요!" 건설업의 위기와 미래는? 본문
청년층의 건설업 기피와 고령화는 건설업계에 심각한 인력난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2030세대의 감소 속에서 건설 현장의 주축은 이제 5060 세대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해외 인력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과연 이 방법이 효과적일까요?
건설업계가 직면한 현실과 해법을 살펴봅니다.

---
■ 청년층의 건설업 기피 현상
(1) 건설업 취업 감소
2024년 5월 기준, 건설업 청년층 취업자 13만 1,000명
전년 대비 3만 7,000명 감소
10개 산업 분야 중 청년 취업률 최하위
(2) 고령화 심화
**건설 기술인 57.3%**가 50, 60대
20, 30대는 전체의 15.7%에 불과
---
■ 정부와 업계의 대응 방안
(1) 외국인 인력 도입
E-7-4 숙련기능인력 비자: 채용 상한 확대
E-7-3 일반기능인력 비자: 2025년 도입 예정, 직종별 300명 목표
(2) 공공 인프라 사업 차질
위례신사선 사업: 입찰 실패로 민간투자사업 지정 취소
가덕도 신공항: 공기 연장 우려
---

■ 건설업이 직면한 과제
(1) 청년층 기피 이유
힘든 노동 환경
낮은 사회적 인식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된 현장
(2) 외국인 인력 의존의 한계
장기적 해결책 부족
현지 인력과의 충돌 가능성
---
■ 향후 건설업의 생존 전략
(1) 청년 유입을 위한 대책
근무 환경 개선
스마트 건설 기술 도입: AI와 로봇 활용
임금 인상과 복지 확대
(2) 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 개선
직업 교육 활성화
산업 인식 개선 캠페인

---
■ 건설업의 미래를 고민할 때
건설업의 청년층 유입 부족과 고령화는 단기적으로 외국인 인력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 몰라도, 근본적인 대책 없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업계의 혁신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 "건설업의 위기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청년층을 위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신다면 의견을 들려주세요!"
---
#건설업인력난 #청년취업난 #건설업고령화 #외국인인력도입 #스마트건설 #청년직업교육 #건설업환경개선 #한국경제 #공공인프라사업 #건설기술자격증 #가덕도신공항 #위례신사선 #건설업혁신
'뉴스 제대로 뽀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륜 스님: "비상계엄령이 불러온 위기와 기회, 제7공화국을 열자" (0) | 2024.12.21 |
---|---|
서울 한강에서 충격적 범죄와 짧은 형량 논란,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1) | 2024.12.21 |
'찐부촌'의 왕좌가 바뀌다? 강남을 제친 용산구의 비밀은? (2) | 2024.12.21 |
'대왕고래' 프로젝트, 한국을 산유국으로 만들 꿈인가, 악몽인가? 🛢️ (0) | 2024.12.21 |
건강했던 사람이 돌연사!! ‘숨은 고혈압’의 무서운 진실, 당신도 놓치고 있나요? 🩺 (0) | 202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