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청바지 싸네” 했다가 아이한테 발암물질 입힌 꼴…중국 직구 제품, 정말 심각합니다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청바지 싸네” 했다가 아이한테 발암물질 입힌 꼴…중국 직구 제품, 정말 심각합니다

노말제로 2025. 3. 28. 09:27
728x90
반응형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해외 직구 아동 제품 10개서 유해물질 초과 검출

DEHP는 발암 가능 물질, 납·카드뮴까지 기준치 수십 배

아이 피부에 닿는 옷에서 이런 물질이? 부모들 충격

 


■ ‘싸고 귀엽다’고 샀는데…아이 옷에서 발암물질이 나왔다고요?

요즘 해외직구 많이들 하시죠.

특히 아이 옷이나 장난감은 예쁘고 가격도 착해서 부모님들 사이에 인기인데요.

 

그런데 그 옷에, 그 장난감에 ‘발암물질’이 들어있었다면 어떨까요?

 

서울시가 최근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에서 판매 중인 아동용 섬유·완구 제품 41개를 안전성 검사한 결과…

무려 10개 제품에서 국내 기준을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 아이들 몸에 직접 닿는 청바지, 블라우스, 장난감에서요.

그것도 그냥 조금 넘은 게 아니라, 수십 배에서 많게는 157배를 초과했답니다.

 

이쯤 되면 단순한 ‘불량’이 아닙니다.

범죄 수준의 제품 유통입니다.


■ 청바지, 블라우스, 장난감…모두 유해물질 범벅 😨

출처 : MBC

1. DEHP? 납? 카드뮴? 이게 다 애들 옷에서 나왔다고요?

 

제품
검출 유해물질
초과 기준치
여아 청바지 고무 단추
DEHP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157.4배 초과
남아 청바지 주머니
폼알데하이드
1.2배 초과
여아 치마 메쉬 원단
폼알데하이드
1.02배 초과
유아 블라우스 브로치
납 1.7배, 카드뮴 1.8배 초과

완구 내부 전선
납 57.7배, 카드뮴 1.5배, DEHP 157배

DEHP는 정자 수 감소, 불임, 조산 등 생식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내분비계 교란 물질이며,

국제암연구소 기준 2B등급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됩니다.

심지어 납과 카드뮴은 아이들 몸에 축적되면 지능 저하, 장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중금속이에요.

이런 물질들이 아이 옷, 아이 장난감에서 대량으로 나왔다는 건 충격 그 자체입니다.


2. 옷 끈이 너무 길다? 장식물로도 사고 날 수 있습니다

물리적 안정성 테스트도 통과 못한 제품들이 있었습니다.

단추, 리본, 브로치 등 아이들이 삼킬 수 있는 부속품이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로 부착돼 있었어요.

허리끈이 너무 길어 기본 안전기준 위반

가슴 장식이 3차원 입체물로 국내 금지사항 위반

브로치 핀 끝이 날카롭게 제작돼 신체 상해 우려

출처 입력

그 어떤 것도 아이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채 만든 싸구려 제품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난 거죠.


■ 문제는…지금도 이 제품들이 팔리고 있다는 겁니다

서울시는 이 제품들에 대해 해당 플랫폼에 판매 중단을 요청했다고 밝혔지만,

그 요청이 즉시 반영되는지, 판매자는 어떤 제재를 받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이런 플랫폼들은 하루 수천, 수만 개의 제품이 올라오고 사라집니다.

 

당장 '이 제품을 내렸다고 끝'이 아니라, 비슷한 제품이 다른 이름으로 다시 올라오는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이 큽니다.


■ 해외직구, ‘싸니까 괜찮아’는 이제 위험한 생각입니다 🛑

 

해외직구로 저렴하게 아이 옷이나 장난감을 사는 분들 많습니다.

그런데, 그 ‘싸게 산 물건’이 우리 아이 몸속에 해로운 물질을 넣고 있다면요?

💬 "싸서 샀는데, 아이 건강엔 너무 비싼 대가였습니다." – 피해 부모

출처 입력

우리나라는 엄격한 유해물질 기준이 있지만, 해외 쇼핑몰 제품은 사실상 사각지대입니다.

제품 등록도, 안전 인증도, 원산지 표시도 없는 ‘무법지대’가 되어버렸습니다.


■ 서울시의 대응, 그리고 우리가 해야 할 일

항목
내용
검사 대상
해외직구 어린이 섬유·완구 41개
부적합 판정
총 10개 제품 (화학/물리 부적합)
조치
판매중단 요청, 어린이날 대비 추가 검사 예정

 

하지만 이걸로 끝나면 안 됩니다.

지금이라도 정부 차원에서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선제적 통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해요.


■ 부모들, 제발 한 번 더 확인하세요 🙏

✅ 제품에 KC 인증이 있는지

✅ 화학물질 테스트 결과가 있는지

✅ 아이가 자주 입고 오래 사용하는 제품인지

✅ 장식물이나 끈 등 사고 위험 요소는 없는지

 

한 번 더 확인하세요.

그게 우리 아이를 지키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싸고 귀엽다”는 말 하나에,

아이가 매일 입는 옷에서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나왔습니다.

 

정말 괜찮은 걸까요?

우리는 어디까지 안전을 포기할 수 있나요?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우리 아이의 몸에 닿는 모든 것, 이제 진짜 바뀌어야 합니다.

 

 

 

 

 

 

#중국직구주의 #아동청바지발암물질 #프탈레이트가소제 #DEHP위험성 #납카드뮴초과 #어린이옷안전성 #해외직구피해 #쉬인테무알리익스프레스 #소비자경각심 #KC인증필수 #서울시유해물질검사 #아동용제품위험 #장식물부작용 #아이건강위협 #직구제품조심 #싸다고좋은게아님 #소비자안전불감증 #중국직구제품위험 #해외쇼핑사고 #가성비대신안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