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서류 광탈에 멘탈 붕괴” 청년 구직자들 눈물…고용부도 충격받은 '현실 실업률'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서류 광탈에 멘탈 붕괴” 청년 구직자들 눈물…고용부도 충격받은 '현실 실업률'

노말제로 2025. 4. 17. 07:07
728x90

 

◆ 청년 고용률, 11개월 연속 하락…정부도 인정한 ‘쇼크’

◆ “AI 교육도 받고 공모전도 했는데”…이력서는 계속 탈락

◆ 구직 포기 청년 50만명 넘어…이제는 체념이 일상

 

· 청년 고용률이 11개월째 하락세, 실업률은 7%대로 급등

· ‘서류 광탈’에 멘탈 무너진 청년들…정부도 “심각하다” 진단

· 정부, 네이버·카카오 등 참여하는 대규모 일자리 지원책 추진


“어떻게 해야 붙는지 모르겠습니다.”

“3년째 공백인데, 이젠 무슨 자격증을 더 따야 할지 막막해요.”

누군가의 하소연처럼 들리시나요?

이건 지금 우리 주변 청년들의 현실 속 목소리입니다.

고용노동부가 깜짝 놀랐다는 표현까지 써가며 청년 취업 상황의 심각성을 인정했습니다.

‘서류 광탈’은 더 이상 농담이 아니라, 통계와 체감이 동시에 비명을 지르는 청춘의 절벽이 되고 있는 상황.

 

■ 왜 지금 청년이 위기인가? ‘고용 쇼크’의 진짜 민낯

통계가 보여주는 경고

 

고용률 하락

· 2024년 3월 기준 청년 고용률은 44.5%

· 작년 동기 대비 1.4%p 하락, 11개월 연속 하락세

 

실업률 급등

· 청년 실업률 7.5% (2025년 3월 기준)

· 2개월 연속 7%대 돌파…2023년 최저치(5.9%)와 대조적

 

📊 청년 고용 통계 비교

구분
2023년 3월
2024년 3월
변화폭
고용률 (%)
45.9%
44.5%
-1.4%p
실업률 (%)
5.9%
7.5%
+1.6%p
'쉬었음 청년' 수
39만명(평균)
45.5만명
증가세 지속

“지원만 수십 군데”…광탈의 일상화

 

💬 “서류전형만 50군데 넘게 넣었는데 전부 탈락했어요”

– 익명 청년 구직자 인터뷰 중

 

■ 정부 대책은? '2.5조 투입' 맞춤형 일자리 처방

‘일 경험’ 기회 확대

미래내일 일경험 지원

· 5만8000명 규모 → 전년 대비 1만 명 증가

· 네이버(400명), 카카오(120명), 현대차(96명) 등 인기 기업 참여

디지털 실무 인재 양성

· AI·반도체·바이오 분야 중심

· 예: 모두의연구소 AI 교육, 서울대 AI 금융 프로젝트 등

구직 단념층을 위한 지원책

청년도전지원사업

· 6개월 이상 취업 못한 청년 대상

· 다양한 사회경험 제공 + 참여수당 지급

국민취업지원제도

· 1년간 취업지원 서비스

· 6개월간 소득 지원도 포함

재직 청년 대상 장려금

장려금 대상
내용
중소·제조업 장기 근속 청년
18·24개월차에 각각 240만 원 지원

 

■ 문제는 구조다…‘왜 청년만 더 힘든가’

실무 경험 없이는 서류 통과조차 어려운 채용 구조

대기업 중심 채용 감소 → 중소기업 쏠림 현상 심화

‘구직→재도전→멘붕→포기’의 악순환 구조 고착화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류 탈락이 너무 많아서, 이제는 지원 자체가 두려워졌다는 청년들이 있습니다.

 

자신을 갈아 넣듯 스펙을 쌓았지만, 일자리는 멀기만 하다는 체감.

 

정부는 2.5조 원을 쏟아붓고 있지만, 그 돈이 진짜 절실한 청년들의 손에 닿고 있는 걸까요?

 

‘재학도, 취업도, 구직도 아닌’ 쉬었음 청년 50만 시대,

이 현실이 더는 특별하지 않다는 게, 지금 우리가 마주한 가장 무서운 문제일지도 모릅니다.

 

이제는 묻고 싶습니다.

청년을 위한 일자리 대책, 그 본질은 ‘진짜 사람을 위한 것’인가요?

 

 

 

#청년실업률 #고용률하락 #서류광탈현실 #청년고용쇼크 #청년도전지원사업 #미래내일일경험 #네이버채용 #카카오채용 #청년일자리대책 #정부일자리정책 #중소기업장려금 #구직단념층증가 #취업공포증 #AI인재양성 #K디지털트레이닝 #실업률7퍼돌파 #고용부정책 #체감실업률 #스펙무력시대 #현실취업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