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정원 없애줬더니 더 나간다?” 정부 무력화시킨 의대생 집단행동의 실체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정원 없애줬더니 더 나간다?” 정부 무력화시킨 의대생 집단행동의 실체

노말제로 2025. 4. 19. 12:43
728x90
반응형

 

◎ 정부는 정원 동결했는데… 의대생은 "필수의료정책도 철회하라"

◎ 수업 복귀율 고작 25.9%, ‘트리플링’ 사태 현실화

◎ 실리도 명분도 잃은 정부… “결국 또 의료계 손 들어준 셈”


· 정부가 '정원 증원'을 없애며 백기를 들었지만,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는 요원

· 필수의료정책까지 철회하라는 요구가 나오며 사실상 ‘정책 보이콧’ 선언

· 결국 피해는 환자와 국민에게 전가… “정부는 무엇을 위한 정책이었나”


“정원 동결, 그럼 이제 복귀하겠지?” 정부의 기대는 착각이었다

 

의대생들이 수업을 거부한 지 2개월, 정부는 정원 증원을 철회하며 물러섰습니다.

 

“다시 3058명으로 동결하겠다”고 발표한 교육부의 입장은

사실상 학생들의 ‘미등록 투쟁’을 수용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하지만 돌아온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학생들은 “정원은 본질이 아니다, 필수의료정책부터 철회하라”며

사실상 정부와의 대화 자체를 거부하는 분위기입니다.

문제는 여기에 그치지 않습니다.

 

2024·2025학번이 복귀하지 않으면 2026년엔 ‘트리플링(3개 학번 동시 입학)’ 사태가 벌어집니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다음 세대와 의학교육 시스템 전체에 돌아가겠죠.


■ 정부가 잃은 것들, 너무 많다

  1. 명분: 공공의료 확충의 초심은 어디로?

정부는 애초에 “지방과 필수의료를 지키기 위해 의대 정원을 늘려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태를 통해 보여준 모습은,

“정치 논리에 밀려 원칙을 쉽게 뒤집는 정부”였을 뿐입니다.

 

  1. 실리: ‘전원 복귀 시 증원 유지’ 약속, 결국 파기

교육부는 지난 3월 “복귀하면 증원 유지”라고 했지만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자 약속을 스스로 철회했습니다.

정책 신뢰도는 바닥을 쳤고, 교육계와 의료계 모두 혼란에 빠졌습니다.

 

  1. 여론: 분노는 의료계 아닌 정부로 향했다가 다시 역전

여론은 갈팡질팡입니다.

한때는 “의대생 왜 저러냐”던 분위기가

이젠 “정부가 너무 흔들린다”로 바뀌었습니다.


■ 궐기대회까지… 의대생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1. 8대 요구사항 고수
  2. 필수의료정책 전면 재검토
  3. 수업 복귀? 아직은 시기상조

 

학생들은 “정원은 당연히 동결되어야 할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이번 궐기대회에서도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친구들이 아무도 안 돌아가니, 나도 계속 수업 안 듣기로 했어요” – 수도권 의대생 자녀 학부모 A씨


📊 의대 정원 증원과 복귀율 변화 요약

 
구분
내용
당초 증원 계획
+2,000명
(2025학년도 5,058명)
실제 증원
+1,509명 (4,567명)
2026학년도 정원
3,058명 (동결 결정)
현재 수업 참여율
25.9%
트리플링 발생 가능 대학
32개교

 


■ 필수의료정책, 철회해야 할까?

 

정부는 필수의료를 살리겠다고 했지만

그 대상이 되어야 할 젊은 의사들은 “이건 현실과 맞지 않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정부가 이번에도 물러선다면,

이제 어떤 정책도 ‘관철’할 수 없는 전례가 생깁니다.

정책은 국민을 위한 것이어야 합니다.

 

정책 결정권자가 아닌 의대생의 집단행동에 끌려다닌다면, 그 피해는 결국 국민과 환자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정부는 정원 동결이라는 최대 양보를 했지만

의대생들의 집단적 무응답 속에 다시 ‘백기’를 들었습니다.

 

정책을 설계하는 힘은 누구에게 있어야 할까요?

 

정부인가요, 아니면 의대생인가요?

 

그리고 이 사태의 끝은 어디로 향할까요?

 

무너진 신뢰를 어떻게 회복할 수 있을까요?

 

 

 

 

#의대정원동결 #필수의료정책 #트리플링사태 #의대생궐기대회 #정부정책실패 #의대미복귀 #의료공백현실화 #교육부정책혼선 #학생단체무대응 #보건의료위기 #공공의료정책 #의대투쟁현황 #의료계불신확산 #의대협입장 #정부백기투항 #트리플정원충돌 #교육정책한계 #의대정책재검토 #정책결정구조문제 #의료정치화위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