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계란이 금란?” 생산 늘었는데 가격 폭등…도대체 누가 이득 보나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계란이 금란?” 생산 늘었는데 가격 폭등…도대체 누가 이득 보나

노말제로 2025. 5. 21. 20:43
728x90
반응형

◆ 담합 의혹까지…서민 밥상 위협하는 ‘계란 인플레’ ◆

◎ 수급엔 이상 無, 가격은 고공행진…정부도 “이상하다”며 조사 착수


· 계란 생산량 증가했는데 도매가는 3개월 새 26% 급등

· 소비자 가격 8000원 눈앞…정부, 담합 여부 정밀 조사

· 유통마진 최소화에도 소용 없어…“제도적 가격 안정 장치 필요”


■ 또 오르는 밥상 물가, 이번엔 계란이 문제다

 

요즘 마트에서 장을 보다 계란 가격표를 보면 깜짝 놀라셨을 겁니다.

 

“계란 한 판이 8천 원이라고?”

 

한때 ‘서민 단백질’이라 불리던 계란이, 이젠 웬만한 고기보다도 부담스럽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가격 인상이 ‘정상적인 수급 흐름’ 때문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생산은 늘었는데 가격이 뛴다?

무언가 이상하죠. 정부도 이 점을 주목하고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 생산량은 계속 늘었다는데…이 가격 상승, 납득되시나요?

 

1.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

 

📊 월별 계란 생산량 현황 (등급판정 수 기준)

생산량(개)
1월
1억 1,231만
2월
1억 1,692만
3월
1억 2,519만
4월
1억 3,058만
5월
(19일 기준)
8,333만 이상 (4월 초과 예상)

생산량은 줄기는커녕 오히려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도매가는 5,505원, 소비자가는 7,052원(전국 평균).

제주에선 7,980원까지 올라 8,000원 돌파는 시간문제입니다.


2. 이유 없는 급등…정부 “담합 가능성” 조사

AI 살처분 여파? 아니었습니다.

미국 수출 때문? 전체 생산량 대비 0.06% 불과, 영향 미미합니다.

결국 정부는 담합 가능성을 거론하며 생산 농가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시행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조사 결과, “수급 여건 변화 이상의 가격 상승”이라는 판단이 나왔습니다.

 

기획재정부 역시 추가 점검과 처벌 가능성을 열어두었습니다.

 

💬 "계란 수급엔 문제가 없는데 가격이 오른다? 단순히 시장 원리라고 보기 어렵다"


■ 도매가는 26% 급등…소비자 가격은 버티고 있다?

유통업계는 나름대로 고군분투 중입니다.

2월 대비 5월 소비자가는 약 5.6% 인상에 그쳤지만,

도매가는 무려 26% 상승했죠.

구분
2월 19일
5월 19일
상승률
도매가 (30구)
4363원
5505원
+26%
소비자가 (30구)
6680원
7052원
+5.6%

이 차이는 유통업체들이 마진을 최소화하며 버티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이 버티기도 한계가 있습니다.


■ 브라질發 수입 금지까지…앞으로 더 오를 수도

 

불행히도, 전망은 더 어둡습니다.

최근 브라질에서 AI가 다시 확산되며 식용란 수입이 전면 금지되었습니다.

 

수입이 막힌다면, 결국 국내 가격에 압박이 가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되면 단순히 계란 가격 문제가 아니라,

· 제과점 · 식당 · 베이커리 · 급식 업체 등

계란을 활용하는 모든 업종의 물가가 줄줄이 오르게 됩니다.

 

결국 밥상 물가 전체가 흔들릴 가능성도 커지는 것이죠.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계란값 상승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서민 가정이 가장 자주 접하는 식재료,

가성비 간식으로 사랑받던 계란이

“이젠 부담스러운 식재료”가 되어버릴 수 있습니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담합 여부를 철저히 조사하고,

산지-유통-소비자 간 공정하고 투명한 유통구조를 만들 제도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대로 둔다면,

계란 한 판이 만 원 시대가 진짜 눈앞입니다.

 

 

 

#계란값폭등 #계란8000원 #에그플레이션 #생산량증가 #계란담합의혹 #계란유통문제 #정부조사착수 #서민물가부담 #장바구니비상 #식품물가상승 #AI여파 #브라질계란수입금지 #유통마진압박 #계란도사치품 #물가상승체감 #전국평균계란가격 #계란가격이상급등 #산지유통개혁 #계란대란2025 #소비자피해증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