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 “아빠가 육휴? 어휴…” 대기업의 ‘눈치 육아’ 현실여성 90% 육휴 vs 남성 5% 육휴…이게 선진국이라고요? 😓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 “아빠가 육휴? 어휴…” 대기업의 ‘눈치 육아’ 현실여성 90% 육휴 vs 남성 5% 육휴…이게 선진국이라고요? 😓

노말제로 2025. 3. 26. 10:34
728x90
반응형

 

 

✅ 코스피 톱10 중 8곳, 남성 육아휴직률 10% 미만

✅ 여성 육아휴직률은 90% 넘는데, 남성은 ‘승진 포기’ 각오해야?

✅ 롯데는 남성 육휴 의무화로 70% 돌파…결국 ‘의지’의 문제


■ 현실은요? 여전히 ‘아빠는 일, 엄마는 육아’ 프레임 🎭

대기업 복지 좋아졌다지만,

현실은 여전히 “남자 육아휴직=커리어 종료 버튼” 분위기입니다.

 

📌 기업별 육아휴직률 비교 (2024년 기준)

 
기업
여성 육휴율
남성 육휴율
삼성전자
97.8%
13.6%
LG에너지솔루션
90%대
22.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미공개
3.93%
삼성바이오로직스
미공개
5%
SK이노베이션
미공개
3.26%
네이버
미공개
8.6%
카카오
미공개
12.3%

 

📉 대부분의 대기업, 남성 육휴율 10%도 못 넘김

📈 여성은 거의 다 쓰는데, 남성은 ‘일단 못 씀’ 분위기

이게 지금 2025년 맞나요?


■ 왜 남자들은 육아휴직을 못 쓰는 걸까?

승진 시기=육아 시기, 육휴는 곧 커리어 포기?

💬 대기업 직원 A씨(39세)

“애는 세 살인데, 육아휴직 썼다간 차장 승진은 끝이에요. 분위기가 그래요.”

 

조직문화 자체가 ‘엄마만 육아’ 전제로 작동

📌 IT 기업조차 마찬가지 (네이버, 카카오도 남성 육휴율 10% 언저리)

📌 “조직문화가 유연해도 육아휴직엔 여전히 ‘눈치’ 필요”

 

‘출산장려금’은 줘도 ‘아빠휴직’은 꺼림

 
기업 복지 항목
도입 여부
출산장려금
O
육아기 단축근무
O
난임 치료 지원
O
남성 육휴 문화
❌ (거의 없음)

아이 낳으라고 돈은 주는데,

정작 키울 시간은 못 준다는 게 아이러니 아니에요?


■ 그런데! 이 회사들은 다릅니다 👏

 

롯데그룹, 2017년부터

👉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1개월 시행

📌 그 결과는?

기업
남성 육휴율
롯데쇼핑
67%
롯데케미칼
71%

❗ 강제하니까 올라간다

❗ 결국 문제는 ‘의지’


■ 전문가들의 분석 한 줄 요약 💡

 

🗣 권상집 교수(한성대 사회과학부)

“육아휴직률을 인사 평가에 반영해야 바뀐다.

지금 망설이면 우수 인재를 다 놓치고 몇 년 뒤 기업 경쟁력도 떨어질 것”

 

🗣 대기업 관계자

“남성 육휴는 비용 부담이 커서 망설이게 된다.

결국 CEO의 결단과 오너 의지 없인 안 바뀐다”


■ 이게 진짜 '일-가정 양립'인가요?

정부는 저출산 타령,

기업은 복지 자랑

근데 아빠가 육아휴직 쓰려면 눈치 보고, 커리어 접고, 용기 내야 한다?

 

아이 키우기 좋은 나라 만들자더니

 

아직도 ‘아빠는 일, 엄마는 육아’ 프레임에 갇혀 있는 거

너무 실망스럽지 않나요?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 남성 육아휴직, 아직도 ‘특별한 사람’만 쓰는 제도일까요?

✔️ 워라밸 강조하는 시대에 남성의 육아참여는 왜 눈치 받아야 할까요?

✔️ 결국 제도가 있어도 실천이 없다면 무슨 의미일까요?

 

“일도 하고, 아이도 키우는 거

엄마만의 의무가 아니라

부모 모두의 권리이자 책임 아닐까요?”

 

 

 

 

#남성육아휴직 #대기업복지현실 #남자는못쉬는나라 #눈치육휴 #삼성전자육아휴직 #LG에너지솔루션 #롯데그룹의지 #출산장려와이중잣대 #일가정양립 #워라밸현실 #육아휴직통계 #아빠도아이랑시간을 #대기업조직문화 #남성육휴강제화 #육아정책제대로 #3040육아고민 #경력단절과육아 #인재유지전략 #직장내성차별 #복지제도의허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