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월급 300만원도 싫다?” 공무원 시험장 텅텅…이젠 ‘공시 열풍’도 끝났나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월급 300만원도 싫다?” 공무원 시험장 텅텅…이젠 ‘공시 열풍’도 끝났나

노말제로 2025. 4. 6. 15:49
728x90
반응형


◎ 경쟁률은 반등했지만…응시율은 역대 최저
◎ 정부는 처우 개선했는데, 정작 청년들은 돌아섰다
◎ ‘안정성’보다 ‘자유’ 선택하는 MZ세대의 변화


---

■ “연봉 올려줘도 싫어요” 공시생 이탈 현실화


1. 응시자 줄고, 시험장도 썰렁

요즘 젊은이들, 더 이상 “철밥통”에 목매지 않아요.
9급 공무원 시험, 한때는 ‘인생역전’의 아이콘이었지만 지금은 오히려 기피 대상이 된 듯해요.
지난 4월 6일에 치러진 국가직 9급 시험 응시율이 75.2%로 역대 최저치를 찍었다고 합니다.

2. 월급 인상도 소용없다?


정부가 초임 공무원 급여를 2027년까지 300만원으로 올린다고 발표했지만, 체감 효과는 크지 않았나 봐요.
2024년 기준 269만 원 → 2025년엔 284만 원, 하지만 젊은층 반응은 냉담했어요.
복지 혜택도 늘리고 워라밸도 챙긴다지만, 청년들이 느끼는 건 여전히 "답답한 조직" 이미지뿐이에요.

3. 경쟁률은 왜 다시 올랐을까?


흥미로운 건, 평균 경쟁률은 오히려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해 24.3대 1을 기록했다는 점이에요.
이건 단순히 응시자가 늘어서가 아니라 ‘선발 인원 감소’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아요.
즉, 시험 치겠다는 사람은 줄었지만, 줄어든 모집 정원에 몰린 거죠.

📊 최근 5년간 9급 공무원 경쟁률 변화


---

■ 공시 포기하는 청년들, 왜 돌아섰나?


1. “안정보다 자율”…세대 인식 변화


MZ세대에게 중요한 건 ‘돈’이 아닌 ‘삶의 질’이에요.
출근 시간 정해져 있고, 보고 문화 강한 공직 문화는 젊은 세대와 맞지 않아요.

💬 “퇴근 후에도 카톡 올까 불안해서 못 살겠다”는 이야기, 이제 익숙하죠.

2. 민간 채용 회복세도 영향


코로나로 막혔던 민간 채용이 최근 회복되면서, 공시 준비보다 취업을 택하는 경우가 많아졌어요.
스타트업, 프리랜서, 크리에이터 등 다양한 진로가 열리면서 “굳이 공무원?”이라는 분위기가 확산 중이에요.

기성세대는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MZ세대는 ‘안정성’보다는 ‘자기주도형 삶’을 추구해요.

3. 반복되는 비리와 조직 불신


공직 내부의 각종 갑질, 음주운전, 비리 사건들도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어요.
공정성과 도덕성을 기대하던 직업이 오히려 신뢰를 잃은 셈이죠.
누가 보더라도 “존경받는 직업”이라는 이미지는 많이 희미해졌어요.


---

■ 그럼에도 공무원직은 사라지지 않는다?


1. 여전히 매력적인 ‘정년 보장’


정년이 보장된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여전히 많은 사람에게 매력적인 건 사실이에요.
불확실한 시대, 수십 년 뒤를 계획할 수 있는 직업은 많지 않으니까요.

2. 인사혁신처의 대응은?


정부는 응시율 하락에 대응해 시험 제도와 근무 환경을 지속적으로 손보고 있어요.
하지만 단순한 월급 인상보다는, 조직 문화 개선이 훨씬 절실해 보여요.


---

■ 앞으로 이 흐름은 계속될까?


1. 공시 인기 회복은 어렵다?


현재 흐름이라면, 공무원 시험 인기는 계속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요.
특히 민간에서의 기회가 계속 확대된다면 이 추세는 더 빨라질 수도 있어요.

2. “일을 다시 매력 있게 만들어야”


공무원이라는 직업 자체의 본질을 다시 묻는 시대가 왔어요.
‘공익’과 ‘자부심’을 느끼게 해주는 시스템, 수직 조직의 개편 없이는 누구도 돌아오지 않을 거예요.


---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00만 원 월급도 부족한 걸까요?
공무원이 비인기 직종이 된 현실, 단순히 젊은 세대의 ‘변심’ 때문일까요?
혹시 지금의 공직사회가 스스로를 매력적으로 만들지 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요?

이젠 국가도 스스로를 ‘브랜딩’해야 할 시대입니다.
젊은이들이 “하고 싶다”는 말이 나올 수 있는 공직, 우리에게 필요하지 않을까요?




#9급공무원 #공시생이탈 #응시율하락 #공무원시험 #월급300만원 #MZ세대직업관 #공무원처우개선 #공무원인기하락 #워라밸중요 #젊은세대트렌드 #국가직공무원 #공시포기 #직업인식변화 #공무원월급 #공시경쟁률 #공무원시험장 #공무원문화 #공직사회의문제 #세대갈등 #시험제도개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