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헌재도 줄세우기?” 한덕수, 재판관 임명 강행에 ‘보수4-진보3’ 구도 완성된다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헌재도 줄세우기?” 한덕수, 재판관 임명 강행에 ‘보수4-진보3’ 구도 완성된다

노말제로 2025. 4. 9. 09:54
728x90
반응형


◆ 대통령 몫 재판관 지명, 중대 국면 돌입…야당 “헌재 정치화 가속화” 반발
◆ 한덕수 대행의 강행 돌파, 절차적 위헌 논란에도 제동 장치 없어
◆ 윤석열 최측근 지명…헌재 균형 무너지는 신호탄?


---

✅ 핵심 요약

● 한덕수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보수 성향 헌법재판관 2명 지명
● 헌재 구성은 보수 4·진보 3·중도 2로, 향후 판단에 ‘보수 블록’ 영향력 확대
● 야당은 권한쟁의·가처분 예고…하지만 현실적 제동 수단은 ‘사실상 없다’


---

■ 권한대행이 헌법재판관을? 정치가 법 위에 서는 순간


정권 교체기에 발생하는 ‘헌재 구도 흔들기’,
이젠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정국이 끝나기도 전에,
한덕수 국무총리(현 대통령 권한대행)가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2명을 전격 지명했어요.

그 주인공은 이완규 법제처장과 함상훈 고등법원 부장판사.
두 사람 모두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깊은 인연이 있는 인물들입니다.

💬 “이완규는 윤 전 대통령의 징계 소송 변호인이었고,
함상훈은 드루킹 사건에서 김경수에게 실형을 선고했던 판사였다.”


---

■ 헌재 구도 변화…보수 4명으로 ‘지각변동’ 시작됐다


헌재는 9명 중 6명 이상 찬성해야 위헌 결정을 내릴 수 있는데요,
이번 지명으로 보수-중도 연합만으로도 판결이 가능한 구조가 완성된 겁니다.
이런 구조는 향후 정당해산, 탄핵심판, 위헌법률 심판 등 핵심 쟁점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 임명 강행에 속수무책인 국회…제동 장치는 사실상 없다


1. 헌법상 대통령 몫 3명 지명 가능


2. 국회 동의 없이도 임명 가능


3. 야당이 권한쟁의·가처분 청구해도 당사자 적격 논란



법률상으론 문제 많아 보여도,
절차상으론 이미 막을 수단이 거의 없다는 게 법조계의 공통된 분석입니다.

✅ 법적 제동 수단은 있으나 실효성 없음
✅ 심판 결정 나기 전에 임명 강행 가능
✅ 이미 퇴임 예정인 재판관 공석 채우는 형식이라 무리수로 보기 어렵다는 주장까지…

💬 “이럴 거면 헌법재판소가 아니라 대통령재판소 아닌가요?” – 온라인 반응


---

■ 헌재의 정치화…누가 이 흐름을 멈출 수 있나?


헌법재판소는 법과 정의의 최종 수호자여야 합니다.
하지만 최근의 행보는 정치세력의 기획과 전략에 따라 흔들리는 정치기관처럼 보여요.

이번 임명 강행은 단순한 ‘인사’가 아니라
정치적 영향력 확보를 위한 치밀한 수 싸움의 결과라고 보는 시선이 많습니다.




---

■ 앞으로 벌어질 일들…정치는 헌재를 손에서 놓을까?


1. 야당의 법적 대응 시도
– 권한쟁의 심판 청구
– 가처분 신청
– 한덕수 탄핵소추 가능성 검토


2. 헌재의 향후 판결들
– 윤 대통령 탄핵 정국 관련 심판
– 정당 해산 심판
– 선거법, 형법 위헌 여부 등 정치 민감 사안들


3. 정권 교체기마다 반복되는 헌재 줄세우기 논란
– 이번이 마지막일까요?


---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헌재는 국민의 기본권을 지키는 최후의 방파제입니다.
그런 곳이 정권이 바뀔 때마다 줄을 서야 하는 곳이 된다면,
우리는 과연 어디서 정의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한덕수 총리의 임명 강행은 법적으로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정치적, 윤리적 정당성이 있는지는 국민이 판단해야 할 문제입니다.

헌법은 권력의 도구가 아니라, 권력을 감시하는 도구입니다.
지금의 흐름, 과연 헌법정신에 맞는 걸까요?

  




#헌재정치화 #헌법재판관임명강행 #한덕수총리 #윤석열측근논란 #보수4진보3 #헌재구도변화 #권한쟁의심판 #탄핵정국 #정당해산심판 #헌재지각변동 #국회무력화 #정치개입우려 #대통령몫논란 #헌법111조 #헌법재판소역할 #국민주권침해 #재판관편향 #법치주의위협 #헌재중립성위기 #헌정질서위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