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도색까지 다 했는데…美로 회항?” 관세전쟁에 발목 잡힌 보잉기, 중국 대신 돌아섰다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도색까지 다 했는데…美로 회항?” 관세전쟁에 발목 잡힌 보잉기, 중국 대신 돌아섰다

노말제로 2025. 4. 22. 12:14
728x90
반응형

◆ 中항공사에 인도 예정이던 보잉 항공기들, ‘관세폭탄’에 시애틀로 복귀

◆ 미국·중국, 145%·125% 관세 맞불 속에 항공기 인도 ‘줄줄이 보류’

◆ “CEO들, 차라리 인도 미뤄”…수십 년 신뢰 무너진 글로벌 항공시장 충격

 

· 中샤먼항공에 인도 직전 보잉 737, 괌·하와이 거쳐 다시 美 복귀

· 미중 ‘관세 면제’ 깨지며 항공기 인도 차질 본격화

· “인도 포기할 수도”…보잉, 말레이시아 등 대체 구매자 물색 중


中샤먼항공에 인도예정이다가 관세전쟁 탓에 지난 19일 美시애틀로 돌아온 보잉기

“다 만든 비행기가 왜 돌아서죠?”

 

중국 항공사에 인도되기 직전까지 갔던

보잉 737 맥스 항공기가,

도색까지 완료된 상태에서 미국 시애틀로 회항했습니다.

 

중국 저장성 저우산 보잉 완성센터에서

샤먼항공에 넘겨지기로 돼 있었던 이 항공기는

19일, 시애틀로 복귀 비행에 들어섰습니다.

 

비행 중 괌, 하와이에서 연료를 보충했고,

그 뒤를 이어 추가 항공기 1대도 같은 경로로 미국행.

그야말로 관세전쟁의 유탄을 맞은 셈입니다.


■ 항공기 인도 무산, 어떤 일이 벌어진 걸까?

 
구분
내용
인도 예정 기종
보잉 737 맥스 (중국 샤먼항공용)
생산·출발지
中 저장성 저우산 보잉 완성센터
회항지
美 시애틀 보잉 생산기지
중간 경유지
괌 → 하와이
관세 배경
미중 무역 전쟁 속 상호 관세폭탄(최대 145%)
추가 사례
21일 또 다른 기체 1대도 괌 착륙 후 회항

💬 “비행기는 이미 다 만들었는데, 세금이 무서워 돌아가야 한다니…”


■ 누가 왜 막았나? 미중 ‘관세 폭탄’ 타임라인 정리

 
시점
미국 조치
중국 보복
2025년 1월
트럼프 행정부, 對중국 수입품 관세 145% 부과

2025년 4월 12일

중국, 미국산 제품에 125% 보복 관세 발표
최근
중국 항공사에 보잉기 인도 금지 지시
→ 항공사 CEO들 “인도 미룬다” 반발 확산 중

 

■ 보잉의 고민, 이제 누구에게 팔아야 하나?

로이터는 보도에서

“보잉이 말레이시아 등 대체 구매자 찾기에 나설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고객을 잃은 보잉으로서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판로 개척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 신규 인도 차질 → 매출 손실

▶ 대기 중인 기체 적체

▶ 글로벌 신뢰도 하락 가능성

 

💬 “수십 년간 누려온 ‘관세 면제 지위’ 붕괴…항공기 시장 전체가 흔들린다” – 분석가 평가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비행기는 다 만들었습니다.

도색까지 마친 항공기, 번호도 다 달았습니다.

 

그런데 세금 때문에 고객에게 못 준다?

 

심지어 역방향으로 수천km를 비행해 다시 본국으로 돌아간다?

 

이건 단순한 기업 손실이 아닙니다.

글로벌 무역 신뢰가 얼마나 위태로운지 보여주는 신호입니다.

 

관세폭탄은 언제든

비행기의 날개도 꺾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의지하는 세계 공급망, 정말 안전할까요?

 

 

 

 

 

 

#보잉회항 #샤먼항공보잉 #관세전쟁피해 #미중무역갈등 #737맥스인도중단 #시애틀회항 #중국항공기반송 #보잉중국고객손실 #트럼프145관세 #중국보복관세125 #글로벌무역위기 #비행기인도차질 #항공산업충격 #세계공급망위기 #관세폭탄현실 #말레이시아대체수출 #보잉도색완료기체회항 #항공기관세문제 #보잉고객이탈 #무역신뢰붕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