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식약처적발
- 소비자기만
- 의성산불
- 여성안전불감증
- 김건희의혹
- 자영업자눈물
- 집행유예논란
- 경북산불
- 배달의민족
- 민주주의위기
- 2030내집포기
- 이재명대통령공약이행
- 포스테코글루경질
- 국민이만든대통령
- 오블완
- 트럼프관세폭탄
- 탄핵심판
- skt유심해킹
- 트럼프무역정책
- 티스토리챌린지
- 윤석열탄핵
- 살인미수혐의
- 윤석열파면
- 헌법재판소
- 김건희수사불응
- 황당사건실화
- 기계안전불감증
- JTBC사건반장
- 월드컵예선
- 표현의자유한계
- Today
- Total
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민생회복지원금’ “차등지원? 말은 맞는데, 결국 또 빠지는 사람 생깁니다” 본문
· 정부, 2차 추경서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 차등 지급 추진
· 일반 국민 25만원, 취약층 최대 50만원…소득 상위 10%는 제외 검토
· 선별 기준은 건강보험료…“누락, 역차별, 사각지대 우려 여전”
또 한 번의 지원금, 또 반복되는 질문
“나는 받을 수 있나?”
“왜 나는 안 되는 거지?”
“같은 동네 사는데 왜 저 집은 되고 우리 집은 안 되지?”
지원금이 나올 때마다
이런 혼란과 소외감이 반복됩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은
차등지급 방식으로 무게가 기울었습니다.
1. 기본 15만 원, 최대 50만 원까지…좋아 보입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만 보면
틀린 방향은 아닙니다.
계층 구분 지급 방식
전 국민 | 1차 보편 15만원 + 2차 선별 10만원 = 25만원 |
차상위계층 | 30만원 + 10만원 = 40만원 |
기초생활수급자 | 40만원 + 10만원 = 50만원 |
고소득층(상위10%) | 지급 제외 검토 중 |
형평성을 반영하겠다,
재정 효율을 고려하겠다,
다 좋은 말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항상
그 ‘기준’이 지금의 현실을 따라오지 못한다는 데 있습니다.
2. 건강보험료? 그 기준, 너무 낡았습니다
선별 기준으로 제시되는 건
역시나 ‘건강보험료 납부액’입니다.
그런데 이 기준은
✅ 작년 소득 기준이고
✅ 직장 가입자에 유리하고
✅ 비정규·플랫폼 노동자는 불리한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 요즘 일감 끊긴 택배 노동자는 여전히 고소득자로 분류돼 제외될 수 있고
- 자녀 셋에 부모 부양까지 하는 직장인도 그냥 ‘중산층’으로 묶입니다.
- 2025년에 막 이직한 사람, 올해 폐업한 자영업자도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누군가는 힘든데도 못 받고,
누군가는 상대적으로 여유 있는데도 받습니다.
3. 제일 큰 문제는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
복지 정책의 사각지대는
늘 조용한 사람들입니다.
📍 차상위에도 못 드는 저소득 청년
📍 소득은 있는데 빚이 더 많은 다중채무 가구
📍 이혼·실직 등 갑작스러운 가정 해체 상황
📍 독거노인, 무소득 가정주부 등 **‘소득 밖의 현실’**에 놓인 사람들
이들은 숫자로 설명되지 않습니다.
‘소득’이 아닌 ‘생활’을 기준으로 보면
더 어려운 사람들이 있다는 뜻이죠.
그런데 정책은
여전히 ‘엑셀표’ 안에서만 움직이고 있습니다.
4. “이건 지원이 아니라 분류다”
차등지급은
‘누가 더 어려운가’를 구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국민을 도와주는 제도가 아니라
국민을 다시 줄 세우고, 나누고, 평가하는 과정처럼 느껴집니다.
“왜 나는 안 돼요?”라는 질문은
매번 정책의 정당성을 흔들고,
복지에 대한 불신과 분노를 남깁니다.
진짜 문제는, 시스템이 시대를 못 따라가는 것
지금의 행정은
빠르게 바뀌는 노동과 소득 구조를
쫓아가지 못합니다.
✔ 1인 가구
✔ 플랫폼 노동
✔ 반일제·반프리랜서·반자영업자 같은 유동적 생활 형태
이들은 기존 복지 시스템의 빈틈에 사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을 고려하지 않은 선별은
선한 의도라도 부작용을 낳습니다.
정책은 숫자가 아니라 사람을 봐야 합니다
정부는 이번 지원금 지급 방식을
한 번 더 돌아봤으면 좋겠습니다.
✔ 누구를 도울지 뿐 아니라
✔ 누가 빠질 수 있는지를 먼저 생각해보는 것
정책은 ‘선별’보다 ‘신뢰’로 평가받습니다.
#차등지원사각지대 #건강보험료기준불공정 #소득외현실존재 #지원금차등논란
#정책신뢰위기 #복지정책개선필요 #플랫폼노동자배제 #생활기준복지필요
#선별복지의역설 #지원에서빠진사람들 #민생회복추경 #2025추경지원금
#정부정책불신 #숨겨진취약계층 #지원금정책한계
'뉴스 제대로 뽀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란값 담합? 이건 식탁 인질극이다…국민의 기본권을 건드렸다 (3) | 2025.06.16 |
---|---|
돈 적게 쓰는 게 부끄러운가요? 아니요, 그건 오히려 멋진 삶의 방식입니다 (2) | 2025.06.16 |
내란을 꿈꿨는데도 풀어준다고? 김용현 석방…이건 법이 아니라 방조다 (2) | 2025.06.16 |
이재명 대통령, G7 첫 외교 데뷔! “가서 보여주십시오, 우리가 어떤 민족인지!” (3) | 2025.06.16 |
트럼프가 훈장을 줬다고? 전한길 합성사진 해프닝…이쯤 되면 코미디 (2)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