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배달의민족
- 살인미수혐의
- 월드컵예선
- 트럼프관세폭탄
- 대통령파면후
- 의성산불
- 의료정책실패
- nc파크사고
- 공공질서침해
- 경북산불
- 탄핵심판
- 직위유지논란
- 트럼프무역정책
- 기계안전불감증
- 헬기부족
- 윤석열탄핵
- JTBC사건반장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헌법재판소
- 피해자보호실패
- 트럼프관세전략
- 포스테코글루경질
- 민주주의위기
- 서울시책임
- 전직대통령경호
- 김건희의혹
- 연예인정치발언
- 윤석열파면
- 피해자2차가해
- Today
- Total
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대기업 대신 '프리터족' 선택한 청년들 📉👨🍳 본문
최근 대기업 정규직을 제외한 일자리 선택에 회의감을 느낀 20~30대 청년들 사이에서 프리터족(프리+아르바이트) 문화가 확산되고 있어요.
이들은 시간제 일자리로 생계를 유지하며 자유로운 삶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그 배경과 현실을 들여다봅니다.

---
■ 사례 1: 빵집 알바로 월 300만원 벌기 🥪
최모씨(30):
주 5일 빵집에서 샌드위치 제조 (오전 6시~오후 3시)
시급 1만2000원으로 월 300만 원 벌며 생계 유지
"체력 부담 적은 저녁 아르바이트를 찾아볼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
■ 사례 2: 건설현장에서 일용직으로 8년 🏗️
이모씨(34):
건설현장 관리자로 근무하며 월 1200만 원 벌기도
"개인 시간 확보와 스트레스 감소가 큰 장점"
---

■ 배경: 왜 프리터족이 늘고 있나? 🤔
1️⃣ 중소기업 회피 심리:
청년 구직자의 64.3%가 대기업 선호, 중소기업 선호는 15.7%에 불과
이유: 낮은 연봉, 근로문화 불만, 고용 불안정
2️⃣ 자발적 시간제 근로 증가:
10년 전 대비 시간제 근로자 77% 증가
"근로 조건 만족, 자유로운 이동, 노력 대비 수입 만족"
---
■ 프리터족의 경제적 현실 💰
시간제 일자리는 즉각적인 수입과 자유를 제공하지만, 고용 안정성과 장기적인 커리어 개발에는 한계가 있어요.
중소기업 구인난:
높은 이직률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은 장기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상황이에요.
---

■ 대안: 프리터족과 기업 간의 상생 모델 찾기 🤝
유연 근로제 도입: 프리터족이 선호하는 자유로운 근로 환경 제공
연봉 및 복지 개선: 청년 세대가 중소기업을 고려하도록 유도
---
#프리터족 #대기업선호 #중소기업구인난 #시간제근로 #청년취업 #알바생 #사회이슈 #2030청년 #노동문화 #근로환경 #빵집알바 #건설현장 #프리터경제 #대기업구직 #한국경제 #청년정책 #취업난 #직장문화 #고용시장 #사회양극화
'뉴스 제대로 뽀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감 환자, 일주일 만에 136% 급증! ❄️💉 2016년 이후 최대 유행 경고 🚨 (1) | 2025.01.03 |
---|---|
얼마나 급했으면… 2,000쪽 매뉴얼을 찢어낸 기장의 마지막 선택 ✈️💔 (0) | 2025.01.03 |
2025년 새해, 결혼·출산 세제 혜택 대폭 강화! 💒👶 (1) | 2025.01.02 |
CJ대한통운, 주 7일 배송 도입! 택배 혁신의 시작 🚚✨ (0) | 2025.01.02 |
하나은행, 40세 이상 희망퇴직 프로그램 시행! 🌟💼 퇴직금만 최대 31개월치?! (3) | 202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