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지브리 스타일이 뭐길래…” 1억 명이 그린 AI 그림, 지구엔 ‘탄소폭탄’이었다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지브리 스타일이 뭐길래…” 1억 명이 그린 AI 그림, 지구엔 ‘탄소폭탄’이었다

노말제로 2025. 4. 13. 21:54
728x90
반응형

◎ ‘귀엽다’며 그린 그림 7억장…뒤에 남은 건 여의도 50배 숲이 사라진 만큼의 탄소

◎ AI 그림 유행, 하루아침에 1831톤 이산화탄소 뿜었다

◎ “이러다 지구 감당 못한다”…AI 이미지 열풍에 경고등 켜진 이유


■ 이건 유행이 아니라 ‘환경 재앙’의 신호일 수 있다

“와, 나도 지브리 그림 만들어봤어!”

 

챗GPT의 새로운 이미지 기능이 공개되자 SNS가 순식간에 ‘애니메이션 그림 갤러리’로 변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도, BTS도, 고양이도 모두 ‘지브리 스타일’로 변신했고,

불과 일주일 만에 7억장의 이미지가 생성됐어요.

 

그런데 말이죠…

그 그림 하나가 만들어질 때마다, 지구 어딘가에서는 전기가 소모되고, 탄소가 배출되고, 물을 사용해 열을 식힌 서버가 오염수를 내보낸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데이터 하나가 숲 하나를 없애는 세상

 
항목
수치
비교 대상
이미지 생성량
7억장
1억3천만 명이 생성
전력 소비
2034 MWh
30만 가구 1주일치 전기
탄소 배출
1831톤
여의도 50배 숲이 1주일간 흡수하는 양
물 소비
수천 톤 이상
서버 냉각용, 이후 폐수 처리

 

이 수치는 단순히 이미지 생성 ‘유행’이 만들어낸 일시적 현상일까요?

아니요. 이건 AI가 보편화된 사회에서 반복될 탄소 폭탄의 시작일 뿐입니다.


■ “귀여운 그림 하나 = 에어컨 하루 풀가동”

생성형 AI가 이미지를 만들 때는

▶ 단순 텍스트 응답보다 최대 10배 이상 많은 연산이 필요합니다.

▶ 이 연산은 수천 대의 서버가 동시에 고열을 내며 돌아가야 하고,

▶ 이를 식히기 위해 엄청난 양의 물과 냉각장치가 동원됩니다.

 

AI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에 따르면

이미지 1000장을 만들면 약 2.9kWh,

7억장이라면 2034MWh,

이는 거의 중형 도시의 전력 소비에 맞먹는 양이에요.


■ 탄소도 물도 ‘AI가 집어삼킨다’

 

전력 자체는 인프라만 되면 해결할 수 있지만,

지구가 문제인 건 ‘탄소’와 ‘물’이에요.

 

🔹 현재 세계 전력의 절반 이상이 여전히 화석연료 기반

🔹 AI 서버 1대는 일반 가정보다 10~20배 더 많은 물을 소비

🔹 냉각 과정에서 나오는 폐수는 수질 오염 주범

 

그림 한 장으로 지구가 미세하게 더워지고,

클릭 몇 번으로 하천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

그건 더 이상 단순한 재미가 아니겠죠?


■ “이 속도면 일본 한 나라 전력 다 쓸 판”

IEA(국제에너지기구)의 예측은 더 충격적입니다.

 

📌 AI 및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는 2022년 460TWh → 2026년 2배 이상 증가 예상

이는 일본 전체의 연간 전력 소비량과 맞먹는 수준이 될 수 있습니다.

 

🔸 골드만삭스는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160% 증가할 것”이라 경고

 

🔸 탄소 배출량도 지금보다 2배 이상 뛸 것이라 분석했어요


■ 이미 IMF도 ‘탄소세’ 언급…AI 기업, 공짜 없다

 

생성형 AI 붐이 뜨거워질수록

 

💥 전기요금, 물 사용료, 탄소세 논의가 본격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 “AI로 얻는 이익엔 비용도 따르며, 에너지 소비에 대한 탄소세 부과는 합리적”이라고 주장했어요.

그림 한 장이 무료라면

 

그 대가는 우리 모두가 공기와 물로 지불하게 되는 셈입니다.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NS에 귀여운 그림 하나 올리는 일,

그게 하루아침에 1831톤의 탄소를 내뿜는 나비효과가 될 줄은 아무도 몰랐을 거예요.

 

“그래도 AI는 멈출 수 없다”는 말이 있죠.

하지만 속도 조절은 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창의성과 편의를 위해 쓰이는 기술이

지구를 희생시키는 도구가 되어선 안 되니까요.

 

지금 이 순간에도 서버는 돌고 있습니다.

그 끝은 더운 여름, 마실 물 부족, 맑은 하늘 없는 계절일지도 몰라요.

 

당신의 클릭, 정말 필요한가요?

 

 

 

 

 

#AI그림탄소배출 #지브리스타일AI #생성형AI환경문제 #챗GPT이미지기능 #AI그림전기소모 #데이터센터물소비 #SNS나비효과 #환경오염기여도 #AI탄소세 #오픈AI비판 #AI과소비문제 #2030탄소대폭증가 #AI기술속도경고 #AI유행부작용 #탄소배출1831톤 #여의도50배숲증발 #서버폐수문제 #AI생산과환경균형 #기술과지구공존 #AI그림지속가능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