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이젠 싱크홀이 부산에서까지…" 서울 이어 부산도 ‘붕괴 공포’ 현실화⚠️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이젠 싱크홀이 부산에서까지…" 서울 이어 부산도 ‘붕괴 공포’ 현실화⚠️

노말제로 2025. 4. 13. 22:16
728x90
반응형

 

◆ 사상-하단선 공사 주변 또 싱크홀, 가로 5m ‘대형’

◆ 서울 곳곳 뚫리더니…이젠 지방까지 땅이 무너진다

◆ 공사장 주변 공통점…“도시기반 붕괴 시작됐나?”


● 부산 사상구 지하철 공사장 인근서 또 싱크홀…지름 5m, 새벽 주민 불안에 떨었다

● 서울 강남·마곡·명일동 등 최근 수차례 발생…“도심 전역이 잠재적 붕괴 지역”

● 모두 ‘지하 공사’ 주변…설계·관리·감독 총체적 부실 가능성


■ “서울에서 시작된 싱크홀, 부산까지 내려왔다”

 

“서울 강남에 싱크홀이 뚫렸다”는 뉴스가 더 이상 낯설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번엔 부산, 그것도 지하철 공사 중인 사상~하단선 현장 인근에서

새벽 5시40분, 지름 5m짜리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

 

🔸 발생 위치: 부산 사상구 학장동

🔸 크기: 가로 5m × 세로 3m

🔸 시점: 2025년 4월 13일 오전 5시 40분

🔸 상황: “싱크홀이 생길 것 같다”는 신고 후, 구청이 안전조치 중 실제 발생

 

한마디로, 예고된 붕괴였던 셈입니다.


■ 서울, 이미 뚫릴 대로 뚫렸다…'싱크홀 지도' 필요할 정도

 
발생지
시점
크기
공통점
강남구 삼성동
2024.12
1.5m
지하철 공사 구간
명일동 재건축 단지
2025.3
3.5m
상수관로 파손 추정
마곡역 인근
2025.2
4m
지하철 9호선 연장 구간
영등포 타임스퀘어 앞
2025.1
2m
지하개발로 지반 침하

서울은 이미 1년에 10건이 넘는 싱크홀이 공식 통계로 보고되고 있어요.

주요 발생 지역들은 대부분

📌 대규모 재건축

📌 지하철 연장

📌 대심도 공사

와 연결되어 있어요.


■ 왜 하필 공사장 주변일까?

싱크홀은

▶ 지하에 생긴 ‘공극(빈 공간)’이

▶ 오랜 시간 지반을 지탱하다

▶ 결국 윗부분을 무너뜨리며 발생합니다.

그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지하 굴착 공사”예요.

 

📌 지하수 배수 미흡

📌 토사 지지력 계산 오류

📌 굴착 후 공간 복구 미완

📌 민간 하도급 부실

 

이 모든 것들이 ‘공사장 인근 싱크홀’이라는 공식을 만든 겁니다.


■ 단순 사고? 아니요. '도시 인프라 붕괴'의 신호입니다

 

싱크홀은 더 이상 ‘예외적 사고’가 아닙니다.

도시 내 기초 인프라가 설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취약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거울이에요.

 

🔹 30년 이상 된 지하 배관 수만 km

🔹 무분별한 대형 지하 개발

🔹 예산 부족으로 유지보수 지연

🔹 규제완화로 감리·감독 축소

 

지금의 싱크홀은 미래의 대형 참사의 전조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람 다치지 않았지만, 언제든 희생자가 생길 수 있어요.


■ 지하철 공사 = 고위험 지대, 대책 있나?

이번 부산 사상~하단선도 지하철 공사 중인 구간입니다.

서울에서 발생한 마곡·강남 등 사례와 동일한 패턴이죠.

하지만 지자체의 대응은 늘 사후 약방문입니다.

사고 나고 나서야 땅을 메우고, 구조물을 설치하고, 보도자료를 냅니다.

 

이제는 ‘발생 후 대처’가 아니라 ‘예방 중심 대책’이 필요합니다.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 강남에 뚫리고, 마곡에 뚫리더니

이젠 부산까지 땅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이게 단순한 우연일까요?

 

아니면, 우리가 너무 오랫동안 눈감아온 도시 인프라의 무너짐일까요?

 

누구도 내 집 앞 도로가 언제 꺼질지 알 수 없는 지금,

“싱크홀은 이제 남의 일이 아닙니다.”

 

 

 

 

 

 

#부산싱크홀 #사상하단선공사 #도시철도위험지대 #서울싱크홀지도 #강남싱크홀 #명일동지반침하 #마곡역공사사고 #지하철공사위험성 #도시인프라붕괴 #지하안전대책 #지하공사위험요소 #공공시설노후화 #재건축지반붕괴 #싱크홀예방대책 #부실시공경고 #서울부산공통위험 #도심지하개발과위험 #토목안전경고 #지자체대응부실 #시민안전위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