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블완
- 인도네시아축구
- JTBC사건반장
- nc파크사고
- 의성산불
- 서울시책임
- 배달의민족
- 청송산불
- 윤석열탄핵
- 공공질서침해
- 전직대통령경호
- 월드컵예선
- 티스토리챌린지
- 의료정책실패
- 산불진화현장
- 대통령파면후
- 윤석열파면
- 피해자2차가해
- 경북산불
- 헬기부족
- 민주주의위기
- 소비자피로감
- 대선출마불가
- 탄핵심판
- 트럼프관세전략
- 공공장소반려견
- 김건희의혹
- 헌법재판소
- 트럼프무역정책
- 트럼프관세폭탄
- Today
- Total
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2030은 왜 구두를 외면할까?”…사라지는 구둣방, 변신 중인 전통 브랜드들 본문
◆ 2030세대의 출근룩, 구두 아닌 스니커즈로 변화
◆ 팬데믹 이후 복장 자율화가 구두 산업 구조 뒤흔들어
◆ 유통 매장 축소·매출 급감…구두는 ‘선택의 아이템’이 되었다
● 핵심 요약
· 코로나 이후 ‘정장+구두’ 공식은 무너지고, 출근길엔 스니커즈가 대세
· 정통 제화 브랜드들도 매출 하락에 캐주얼화·온라인 전환 중
· “개성 중시 MZ세대가 중심”…구두는 이제 선택의 영역이 됐다
그 많던 구두는 다 어디로 갔을까?

몇 년 전만 해도 백화점 구두 코너는 늘 북적였습니다.
주말이면 수선집 앞에는 출근 준비를 위한 구두가 줄지어 있었죠.
하지만 요즘 어떠신가요? 지하철 아침 출근길, 정장에 운동화 신은 사람들 보신 적 있으시죠?
"왜 이렇게 다들 편하게 입지?"
그게 바로 시대의 흐름입니다.
구두는 더 이상 ‘직장인의 교복’이 아닙니다.
이제는 ‘나를 표현하는 선택지’가 된 거죠.
■ 구두 실종 현상…숫자가 말해주는 변화
주요 구두 브랜드, 매출 일제 하락 📉
브랜드명
|
2022 매출
|
2023 매출
|
증감률
|
탠디
|
1,131억 원
|
1,029억 원
|
-9%
|
미소페(비경통상)
|
788억 원
|
690억 원
|
-12.4%
|
형지에스콰이아
|
733억 원
|
490억 원
|
-33.1%
|
금강제화
|
2,000억 원대 → 1,064억 원
|
-약 50% 수준
|
|
💬 유통업계 관계자
“팬데믹 이후 복장 자율화와 워라밸 흐름이 제화업계의 ‘기본’을 흔들고 있다”
■ 백화점도 구두를 버렸다?
1. 매장 규모 대폭 축소
더현대서울
→ 구두 브랜드 13개 → 4개로 축소
→ 매장 면적 절반 줄어
2. 신세계백화점 본점
→ 구두관 3층 → 6층 이관
→ 브랜드 수 12개 → 2개로 감소
3. 대신 들어선 건?
러닝화·스니커즈 브랜드 팝업스토어
‘디스턴스(Distance)’ 등 신생 편집숍 화제
라이프스타일+패션 접목 브랜드 인기 상승
📊 운동화 시장 성장 추이 (단위: 원)
연도
|
시장 규모
|
2021년
|
2조 7,761억
|
2023년
|
3조 4,150억
|
2024년(예상)
|
4조 원 이상
|
■ 거리에서 사라지는 구둣방…그 이유는?

2011년: 서울 시내 구둣방 1,266곳
2021년: 882곳
2024년 2월 기준: 745곳
💬 “구두는 이제 소모품이 아닌, ‘선택형 패션 아이템’으로 인식”
■ 이제 구두는 선택입니다…브랜드의 ‘생존전략’은?
패션보다 '라이프스타일'로
정장화 중심 → 캐주얼화/운동화 확장
오프라인 중심 → 온라인 채널 강화
브랜드 리포지셔닝 필요성 대두
타깃 소비자: ‘정형화된 직장인’ → ‘스타일 중시 MZ세대’
‘전통’이라는 이름에 기대기보단, 변화 수용이 관건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더 이상 ‘구두=출근’은 아닙니다.
스니커즈, 운동화, 심지어 샌들도 ‘업무복’이 될 수 있는 시대.
그런데…전통 제화 브랜드들은 여전히 정장에 맞춘 구두에만 집중하고 있진 않나요?
"정장은 몰라도 구두는 신기 싫다"는 2030의 외침.
그 소리를 듣지 못하면, 수십 년 브랜드의 명성도 '기억 속의 추억'으로 사라질지 모릅니다.
#구두사라진이유 #스니커즈출근룩 #2030소비트렌드 #구두매출급감 #형지에스콰이아 #미소페 #탠디매출 #백화점구두매장축소 #출근룩변화 #운동화시장급성장 #워라밸패션 #복장자율화 #MZ세대스타일 #패션리포지셔닝 #전통브랜드위기
'뉴스 제대로 뽀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마꾼이 왜 직원입니까?”…코레일 본부장 딸 결혼식에 동원된 4인의 부하 직원 (2) | 2025.04.26 |
---|---|
“스마트키로 슬쩍 들어왔다고요?”…전과자 인테리어업자, 여성 집 11번 무단침입 (0) | 2025.04.26 |
"죽을 뻔했는데 자발적 퇴사?"…회식 비극에 두 번 울어야 했던 20대 직원 (1) | 2025.04.26 |
“다 퍼주자는 건가요?”…‘2+2 통상 협의’서 드러난 한국의 속내 (1) | 2025.04.25 |
“기각된 명품백, 다시 불붙은 도이치?”…김건희 수사, 왜 재개됐나 (2)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