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TBC사건반장
- 전직대통령경호
- 탄핵심판
- 트럼프관세폭탄
- 헬기부족
- 티스토리챌린지
- 경북산불
- 연예인정치발언
- 직위유지논란
- 피해자보호실패
- 윤석열파면
- 공공질서침해
- 트럼프관세전략
- 의성산불
- 헌법재판소
- 김건희의혹
- 서울시책임
- 살인미수혐의
- 트럼프무역정책
- 포스테코글루경질
- 월드컵예선
- 민주주의위기
- 대통령파면후
- 윤석열탄핵
- 의료정책실패
- 배달의민족
- 기계안전불감증
- nc파크사고
- 오블완
- 피해자2차가해
- Today
- Total
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누가 이 나라의 주권자인가?” 대법원의 ‘정치 개입’…사법부가 국민 위에 군림하려는가 본문
◎ 핵심 요약
· 대선 앞두고 이례적 속도전…대법, 34일 만에 유죄 취지 파기환송
· 다수 의견 모두 윤석열 정부 임명 대법관…정치적 중립성 논란
· “법원이 정치의 심판대 되나”…민주주의 위협하는 사법의 월권 우려
“34일이면 충분했다?” 대법원의 시간표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4월 말, 대한민국의 사법부가 “국민 위에 군림하겠다”는 메시지를 던진 날이었습니다.
선거법 위반 혐의를 받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단이 불과 34일 만에 내려졌습니다.
이건 단순히 신속한 재판이 아닙니다.
대선 후보 등록이 시작되기 전에 유죄 프레임을 박제하려는 의도된 ‘속도전’이자, 정치에 개입한 사법권력의 행동입니다.
대법원이 선고에 갖는 3개월 시한.
그 기한은 6월 26일이었습니다.
그런데 4월 30일, 예상보다 무려 두 달 가까이 빠르게 선고했습니다.
왜 지금이어야 했을까요?
■ 누구를 위한 ‘속도’? 국민을 위한 신속, 아니었다

📌 속도 요약표
구분
|
보통 진행 시기
|
이번 재판
|
전원합의체 회부
|
최소 수 주 소요
|
당일 결정
|
심리 기일 수
|
보통 수차례 이상
|
단 2회
|
전체 소요 기간
|
최대 3개월 (법정기한)
|
단 34일
|
선고 시점
|
대선 후보 등록 이후 예상
|
등록 직전 선고
|
이 결정의 정치적 함의는 명확합니다.
선거를 앞두고 법원이 한쪽 편에 서서 ‘유죄 프레임’을 미리 씌운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 한 법조인은 말합니다.
“이건 대법원장이 정치 일정에 맞춰 리모컨을 누른 겁니다.”
■ 임명권자가 누구였는가? 법관의 손 든 쪽이 곧 정권이었다
이번 전원합의체 판결,
찬성 10명, 반대 2명.
하지만 그 10명 전원은 윤석열 정부 임명 대법관,
반대 의견을 낸 2명은 문재인 정부 당시 임명된 대법관이었습니다.
결과는 뻔했습니다.
사법부 안에서도 정치적 줄이 있었던 겁니다.
그 중 한 대법관은 이렇게 반대 의견을 밝혔습니다.
💬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후퇴이며,
사법의 정치화라는 비판을 자초한다.”
이것이 바로 사법이 정치에 개입해서는 안 되는 이유입니다.
■ 대법원장은 누구였는가? 이 모든 결정의 중심엔 조희대

조희대 대법원장.
2023년 12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명했습니다.
그가 전원합의체 회부를 결정했고, 직접 재판장을 맡았습니다.
결국, 정권이 임명한 대법원장이, 정권이 견제하고자 했던 후보를 유죄 취지로 몰아간 셈입니다.
그가 꺼내든 논리는 기가 막힙니다.
“2000년 미국 대선도 3~4일 만에 재검표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당시 미국 대선 재판은 이미 선거가 끝난 후였습니다.
지금처럼 “선거 전 유죄 낙인을 찍기 위한 계산된 판단”은 아니었습니다.
25년 전 미국의 예를 들어 대한민국 주권자를 기만하는 대법원의 태도는 그 자체로 위험한 선례입니다.
■ 누가 대한민국의 주권자인가?
이 나라의 주권은 헌법에 명시된 바,
국민에게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대한민국은
사법부가 국민 위에 서서,
민주주의를 심판하려 하고 있습니다.
민심은 아직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법원이 먼저 판결을 내리고 정치적 유죄 프레임을 고정하려 합니다.
그 누구도 묻지 않았습니다.
그 누구도 위임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왜, 왜 사법부가 ‘정치’를 판결합니까?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대법원은 헌법의 수호자입니까,
아니면 정권의 검판기관입니까?
국민이 선택할 기회를 빼앗는 사법 판단,
그것은 정치가 아니라
독재입니다.
국민의 뜻보다 위에 있는 권력이 또다시 존재한다면
우리는 다시 질문해야 합니다.
“이 나라의 주권자는 누구인가?”
#대법원정치개입 #이재명판결 #조희대대법원장 #전원합의체논란 #속도전판결 #34일선고 #윤석열임명대법관 #정치프레임형성 #사법부의정치화 #표현의자유후퇴 #사법월권 #정권편든법원 #대법원불신 #선거개입논란 #국민주권침해 #누가이나라의주인인가 #선거판흔든사법부 #전합속전속결 #민주주의위기 #사법정치화
'뉴스 제대로 뽀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게 나라냐?” 권한대행의 대행의 대행…대통령 없는 5주 (1) | 2025.05.02 |
---|---|
“뒷자리에 앉혔다고 발길질?”…공무원 걷어찬 농협조합장, 감형에 직위 그대로 (0) | 2025.05.01 |
“1.8조 더 늘렸다?”…13.8조 추경, SOC·AI·산불 피해 예산 ‘줄줄이 증액’ 통과 (0) | 2025.05.01 |
“7살 아이 손가락이…” 인천 키즈카페에서 끔찍한 사고, 인형탈 속 ‘팬’이 문제였다 (3) | 2025.05.01 |
“차에서 번개탄 피웠다가…전북 빌라 전소, 1명 사망” – 충격적인 방화 사건의 전말 (1)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