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배달의민족
- 직위유지논란
- JTBC사건반장
- 피해자보호실패
- 전직대통령경호
- nc파크사고
- 공공질서침해
- 의료정책실패
- 경북산불
- 윤석열탄핵
- 살인미수혐의
- 민주주의위기
- 헌법재판소
- 윤석열파면
- 트럼프관세폭탄
- 월드컵예선
- 의성산불
- 대통령파면후
- 헬기부족
- 피해자2차가해
- 트럼프무역정책
- 연예인정치발언
- 김건희의혹
- 티스토리챌린지
- 탄핵심판
- 기계안전불감증
- 트럼프관세전략
- 서울시책임
- 포스테코글루경질
- 오블완
- Today
- Total
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1조 레미콘 멈췄다”…사우디 ‘네옴시티’ 꿈, 현실의 벽에 막히다 본문
◆ 170km→2.4km로 대폭 축소된 '더 라인'
◆ 유가 급락·부채 급증에 사우디 금고도 '텅'
◆ 삼성·현대·성신양회 등 한국 기업도 연쇄 타격
· 사우디, ‘네옴시티’ 대폭 축소…170km 중 2.4km만 먼저 건설
· 韓 건설사 수주 공사 지연, 레미콘 공장 가동도 ‘멈춤’
· 사우디 재정난+중동 리스크에 민간투자도 뒷걸음질
“사막 위 꿈의 도시, 한순간에 멈췄습니다”

한때 ‘인류의 미래 도시’라며 전 세계의 관심을 끌었던 사우디의 ‘네옴시티’.
그 거대한 꿈이 지금, 돈 앞에서 멈춰섰습니다.
공사 지연, 계획 축소, 목표 인구 급감.
그리고… 한국 기업들도 속속 철수하고 있습니다.
이젠 그 화려한 유리벽 뒤에 한숨과 계산기 소리만 가득합니다.
■ 사우디, 네옴시티 축소 선언…“2.4km만 짓겠다”
'더 라인' 170km→2.4km 축소, 인구 목표도 5분의 1로
원대한 청사진, 현실 앞에 주저앉다
사우디는 당초 170km에 달하는 미래형 도시 ‘더 라인’을 계획했지만,
현재는 2.4km 구간만 1차 완공 목표로 선회했습니다.
인구 목표도 대폭 하향
2030년까지 150만 명 수용을 목표로 했지만,
이젠 30만 명 미만으로 조정됐습니다.
■ 유가 급락·재정난…사우디 돈줄이 말랐다

GDP 30%에 달하는 부채, 쌓이고 또 쌓였다
국채 폭증 + 아람코 수익도 감소
2025년 1분기 사우디 순부채 43조 원 증가, 사상 최대폭 기록
아람코 배당도 30% 축소…재정 여력 뚝 떨어짐
유가 하락, 불안한 바닥
국제 유가, 올해 들어 20% 이상 하락
골드만삭스 “배럴당 62달러 되면 사우디 재정 적자 두 배 될 것” 경고
다른 행사에 예산 집중
사우디는 2029 동계아시안게임, 2030 엑스포, 2034 월드컵 등
국가적 이벤트 준비에 예산을 우선 배분 중
■ 韓 건설사들 '직격탄'…지하터널·레미콘 공사 중단

삼성·현대 ‘러닝 터널’ 공정률 30%서 멈춤
공사비 1조 원 넘는 대형 사업, 현재 ‘정지’
삼성물산·현대건설 컨소시엄, 더 라인 지하 28km 고속 터널 시공 중
2022년 수주, 하지만 발주처 요청으로 공사 지연
성신양회, 레미콘 공장 가동 중단
사우디에 현지 법인 세우고 공장까지 돌렸지만,
2025년 초부터 가동 중단
일부 인력도 철수, 재개 일정도 미정
■ 전문가 경고…“관광지 전락 + 만성적 리스크”

이제는 ‘관광 프로젝트’로만 굴러간다?
유태양 크레센트 파트너의 진단
💬 “2023년부터 관광 위주로 진행 중… 언제든 축소·취소 가능성”
해외건설협회 관계자의 경고
💬 “사우디는 지금 다른 데 돈 쓰느라 네옴은 후순위 된 것 같다”
■ 진짜 문제는…한국 기업들, ‘플랜 B’ 있나요?
레미콘부터 지하터널까지,
한국 기업들이 의욕적으로 뛰어들었던 네옴시티가
이젠 발을 뺄지, 아니면 손실을 감수할지 기로에 섰습니다.
사우디라는 시장의 ‘화려함’만 보고 들어갔다가
예상 못 한 지정학 리스크와 유가 변수에 흔들리는 현실.
이대로라면 ‘기회의 땅’은커녕, 덫에 걸린 미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당신이라면 이런 프로젝트에 뛰어들 수 있겠습니까?
출처 입력
📌모바일 최적화 표 정리
항목
|
초기 계획
|
축소안
|
총사업비
|
5000억 달러 (710조 원)
|
8조8000억 달러 (1경 원)
|
완공 시점
|
2030년
|
2080년
|
거주 인구
|
150만 명
|
30만 명↓
|
완공 거리
|
170km
|
2.4km
|
한국 기업 피해
|
터널 공사 지연, 레미콘 중단
|
일부 인력 철수
|
#네옴시티표류 #사우디재정위기 #한국건설사피해 #삼성물산현대건설
#성신양회레미콘 #더라인축소 #중동리스크 #지정학불확실성 #건설수주위험
#유가급락충격 #1조공사중단 #한국기업대응 #네옴시티축소 #국제프로젝트위험
'뉴스 제대로 뽀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은 1만3000원, 지방은 7000원?”…이준석 '최저임금 지역차등제' 파장 (1) | 2025.05.28 |
---|---|
“월 300만 줘도 사람 없다?”…자영업자의 고용난, 도대체 왜 이 지경까지 왔을까 (5) | 2025.05.22 |
“욕조가 사라진다?” 목욕 마니아 국가 일본, 젊은층이 욕조를 버린 진짜 이유 (0) | 2025.05.22 |
“유럽인이 반한 TV?” LG 올레드, 1000만 대 팔리며 유럽 평정했다 (2) | 2025.05.22 |
“이건 너무했다…” 무더위 속 생수 1톤 반품, 쿠팡 기사의 한숨 터졌다 (2)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