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윤석열탄핵
- 트럼프관세전략
- nc파크사고
- 청송산불
- 김건희의혹
- 트럼프관세폭탄
- 피해자2차가해
- 대선출마불가
- 의성산불
- 공공질서침해
- JTBC사건반장
- 대통령파면후
- 전직대통령경호
- 헌법재판소
- 오블완
- 민주주의위기
- 티스토리챌린지
- 윤석열파면
- 공공장소반려견
- 월드컵예선
- 소비자피로감
- 탄핵심판
- 배달의민족
- 경북산불
- 의료정책실패
- 트럼프무역정책
- 헬기부족
- 산불진화현장
- 서울시책임
- 인도네시아축구
- Today
- Total
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이 틈을 노렸다?” 탄핵 정국 와중 줄줄이 오른 식품값…정부는 어디 있나요? 본문
● 3개월 연속 2%대 물가 상승, 체감은 ‘더 심각’
● 김치·커피·빵·햄버거 줄줄이 인상…먹는 것도 부담
● 정치 공백 틈타 가격 올린 기업들, 정부는 방관 중?
■ “이럴 땐 슬그머니 올린다”…조용히, 그러나 확실하게

서울의 대형마트.
한 손에 맥주, 다른 손에 라면을 들었다가 내려놓는 사람들.
그 장면이 이제 낯설지 않아요.
📌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
2023년 말 1%대였던 물가가
올 들어 1월, 2월, 3월 연속 2%대 상승을 기록했어요.
그런데 이건 어디까지나 통계상의 평균입니다.
현장에서 느끼는 건 다릅니다.
“이젠 먹는 것까지 줄여야 한다”는 말, 여기저기서 들리거든요.
■ 📊 가공식품 가격 인상 현황
품목
|
상승률 (전년 동월 대비)
|
김치
|
+15.3%
|
커피
|
+8.3%
|
빵
|
+6.3%
|
햄버거
|
+5.7%
|
가공식품 전체
|
+3.6%
|
생활물가지수
|
+2.4%
|
외식물가
|
+3.0%
|
✅ 이 가공식품 하나만으로 전체 물가를 0.3%p 끌어올린 셈이에요.
한마디로, 우리가 매일 먹는 것들이 다 올랐다는 뜻입니다.
■ “탄핵 국면 이용한 거 아냐?” 묘하게 겹친 타이밍

지금은 정치 공백기, 정확히 말하면 탄핵 정국이죠.
헌재가 결정을 앞두고 있고,
대통령실은 무기력하고,
정치권은 오로지 권력싸움에 몰두 중입니다.
바로 그 틈을 타,
● 햄버거 프랜차이즈
● 커피 전문점
● 과자·라면 업체들
모두 줄줄이 가격을 올렸습니다.
💬 “1위 기업이 올리면, 2·3위가 따라가는 구조입니다. 다들 지금이 타이밍이라 보는 거죠”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 원인은 ‘고환율’이라는데…그걸 소비자만 감당해야 하나요?

식품기업들은 이렇게 말해요.
💬 “원재료 수입 비용, 환율 때문에 인상 불가피합니다.”
맞는 말일 수도 있어요.
하지만 왜 늘 조용히, 몰래, 동시에 올리나요?
왜 정부는 이걸 보고도 방치하나요?
지금처럼 정치 혼란이 계속되면
‘시장 자율’이라는 이름 아래
기업들의 가격 인상 러시는 계속될 수밖에 없어요.
■ 정부 대책은? 겨우 할인쿠폰 + 공공요금 동결

물가가 이렇게 요동치는데,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산불 여파로 농축수산물 가격 오를까봐 300억 원 할인 예산 추가
- 전기·가스요금 상반기 동결
솔직히 말해,
이게 지금 상황에 비해 충분한 조치일까요?
식탁 위 물가가 들썩이는데
공공요금 몇 달 묶는다고,
마트에서 할인 몇 천 원 한다고
체감 물가가 낮아질까요?
■ “체감물가? 두 자리 수 넘었어요”
현장의 목소리는 더 분명합니다.
💬 “라면도, 김치도, 커피도 다 올라서 먹는 것 줄이고 있어요.”
💬 “애들 간식도 줄여야 할 판이에요.”
이게 과연 2% 상승일까요?
체감은 이미 두 자릿수입니다.
특히 서민과 중산층의 장바구니 물가는
이미 한계에 다다랐어요.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탄핵 정국’이라는 혼란 속에서
국민들 식탁은 조용히, 그러나 확실하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 타이밍에 기업들이 줄줄이 가격을 올렸고,
정부는 말뿐인 대책으로 일관하고 있어요.
공정한 시장이란, 감시가 전제되어야만 작동합니다.
지금처럼 정부가 제 기능을 못 할 때,
기업은 자기 이익만 챙기게 돼 있어요.
지금 필요한 건
● 더 이상 정치 핑계 대지 않는 실질적 물가 관리
● 가격 인상 명분의 투명 공개
● 소비자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감시와 규제입니다.
이대로 두면,
올해 물가 상승률은
‘통계상 2%’가 아니라, 서민 체감상 ‘20%’가 될지도 모릅니다.
#탄핵정국물가관리실종 #물가상승체감폭발 #가공식품도미노인상 #김치커피빵전부인상 #생활물가지수폭등 #식품가격인상러시 #서민물가위기 #정부물가정책부재 #장바구니물가폭탄 #기업가격인상눈치보기 #원자재핑계그만 #환율탓이지만소비자부담 #체감물가20퍼센트 #빵값커피값도사치 #정부할인쿠폰미봉책 #공공요금동결의미없다 #소비자협회경고 #정치공백기물가방치 #가격인상정치의그림자 #시민분노폭발 #2025물가위기 #정책리더십실종 #탄핵정국경제불안 #빵값6퍼센트인상 #가공식품상승률1위 #정부가없다 #물가관리실패
'뉴스 제대로 뽀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형이 이걸 가만히 둔다고요? 네버, 절대 네버!"…카자흐스탄 희토류 ‘잭팟’에 흔들리는 세계 질서 (2) | 2025.04.03 |
---|---|
몰래 들여온 중국산 묘목 21만 그루…‘과수화상병’이 뭐길래 이렇게 난리일까? (0) | 2025.04.03 |
“선관위 부정채용 책임 묻는다면서…검찰총장 딸은 왜 언급 안 하나요?” (1) | 2025.04.03 |
트럼프 한마디에 500억달러(75조) 증발 위기?…한국 수출, 진짜 망가질 수 있습니다 (1) | 2025.04.03 |
"부부가 국민연금만으로 月 530만원?"…현실은 108만원, 누가 그만큼 받나!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