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신은 있는 건가?”…‘염전노예’ 가해자는 67억 군의원, 미국은 수입금지 조치까지 본문

뉴스 제대로 뽀개기

“신은 있는 건가?”…‘염전노예’ 가해자는 67억 군의원, 미국은 수입금지 조치까지

노말제로 2025. 4. 18. 12:50
728x90
반응형

◆ 신안 염전 강제노동 가해자, 1년 형 후 풀려나 ‘군의원’ 당선

◆ 전남 공직자 중 재산 1위…피해자는 다시 염전으로 돌아가기도

◆ 美는 “강제노동 있었다” 수입 금지…트럼프는 관련 언급 無


· 2014년 전국을 충격에 빠뜨렸던 ‘신안 염전노예 사건’ 기억하시나요?

· 그 가해자 중 한 명은 지금 ‘공무원 신분’에 ‘67억 자산가’가 됐습니다

· 미국은 “강제노동 제품 수입 안 된다”며 염전 천일염 금지 조치를 했는데…한국은요?


“사람을 노예처럼 썼던 자, 지금은 군민 대표라니”

 

한 사람이 있습니다.

과거 신안군 염전에서 장애인을 연봉 400만 원에 부리고, 임금 6000만 원을 체불하고, 폭행까지 저지른 인물입니다.

 

1년 징역형을 받았지만 집행유예 3년으로 풀려났고, 2018년과 2022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되어 지금은 신안군의원입니다.

 

📌 그리고 그의 재산은요?

항목
수치
재산 총액
67억 1,854만원
전남 공직자 순위
1위

💬 “이게 과연 정의입니까?”


■ 2014년 그 끔찍했던 ‘염전노예’ 사건, 처벌은 어땠나?

 대부분 ‘실형 면제’

 

📊 2014년 염전노예 가해자 36명 중 실형 선고자는 단 1명

구분
내용
실형 선고
1명 (징역 1년 2개월)
집행유예/불기소
35명, 대부분 증거불충분으로 무혐의

법은 강제노동을 ‘인권침해’가 아닌 ‘임금체불’로 취급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사법 실패가 아닙니다.

구조적 방치, 고의적 회피, 시스템의 방관이 만들어낸 결과였습니다.


■ 피해자들은 어디에 있을까요?

💬 “대부분 보호도 못 받고, 자립도 못 한 채 더 열악한 현장으로 돌아갔습니다.”

출처 입력

 

염전에서 구출된 피해자 상당수는

 

· 지속적인 재취업 실패

· 주거지 미확보

· 사회 복귀 프로그램 부재 등으로 인해

 

다시 염전으로 돌아가거나 또 다른 ‘노동 착취’ 현장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국가도, 지자체도, 누구도 그들의 삶에 책임을 지지 않았습니다.


■ 그런데 미국은? 강제노동 ‘수입 금지’ 조치 발동

 

2024년 11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전남 신안 태평염전의 천일염 제품에 대해 Withhold Release Order(수입 보류명령)를 내렸습니다.

 

📌 이유:

“강제노동이 사용되었다는 합리적 근거 확보”

 

📌 조치 내용:

조치 주체
내용
미국 CBP
태평염전 천일염 제품 수입 전면 금지
유통 요건
강제노동과 무관하다는 사실 입증 시에만 허용
수입금지 효과
한국산 천일염 첫 수입제한 조치, 국제 노동인권 경고

💬 “미국은 수입금지, 한국은 배지 수여”

 

 

미국은 기업 공급망 내 강제노동 책임을 철저히 묻습니다.

한국은 여전히 ‘방치’ 혹은 ‘무관심’입니다.


■ 트럼프는? 관련 발언이나 조치 “없음”

많은 이들이 궁금해합니다.

 

“트럼프가 신안 염전 강제노동 문제에 대해 언급했나요?”

→ 현재까지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해당 사안에 대해 언급하거나 조치를 취한 공식적 기록이 없습니다.

 

이번 수입 금지 조치는 미 바이든 행정부의 노동 인권 정책 기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 사람은 사람을 부리고, 돈도 안 주고, 폭행까지 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공직자가 되어 수십억 자산을 굴립니다.

반면, 피해자들은 여전히 어디론가 사라졌고,

그 누구도 “그들의 삶”에 대해 책임지지 않았습니다.

 

미국은 이를 ‘국가 수치’로 받아들이고 수입을 막았습니다.

 

우리는 아직도 그 가해자에게 마이크를 쥐어주고 있습니다.

 

이게 과연,

“정의로운 나라”의 모습일까요?

 

 

 


#신안염전노예 #강제노동수입금지 #신안군의원논란 #67억자산가해자 #피해자실종 #솜방망이처벌 #태평염전수입금지 #미국CBP조치 #공직자재산1위 #공급망책임회피 #한국인권현실 #불법노동방치 #지방정치비극 #피해자보호실패 #기업책임없음 #강제노동반복 #신안사건국제파장 #트럼프언급없음 #노동인권무관심 #이게정의입니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