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대통령파면후
- 직위유지논란
- 오블완
- 헬기부족
- 탄핵심판
- 공공질서침해
- 피해자2차가해
- 의성산불
- 경북산불
- 전직대통령경호
- 서울시책임
- 헌법재판소
- 월드컵예선
- 의료정책실패
- 청송산불
- 윤석열탄핵
- 트럼프관세폭탄
- 대선출마불가
- 트럼프무역정책
- JTBC사건반장
- 배달의민족
- 공공장소반려견
- 인도네시아축구
- 티스토리챌린지
- 김건희의혹
- 산불진화현장
- nc파크사고
- 민주주의위기
- 윤석열파면
- 트럼프관세전략
- Today
- Total
목록2025/04/13 (15)
서울 10평 텃밭농부의 뉴스 뽀개기

● ‘프로젝트 한강’ 시작…디지털화폐 실험, 국민 10만 명 대상● 카드 대신 ‘예금 토큰’으로 결제…세븐일레븐·교보문고 등 대거 참여● “개인정보 감시다” vs “과도한 공포”…국민 청원도 등장 ■ “이건 국가 감시다” vs “기술 진화일 뿐이다”한국은행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실증 실험을 강행하면서,시민들 사이에 중국화 논란이 다시 불붙었어요.이 실험은 ‘프로젝트 한강’이라는 이름으로 진행 중이며,은행 예금을 디지털 토큰으로 바꿔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참여자 수: 10만 명✅ 참여 기간: 2025년 6월 말까지✅ 결제 방식: QR 기반 예금 토큰✅ 보유 한도: 100만 원✅ 결제 한도: 500만 원 ■ 어디서 쓰는 건가요?실험 참여 가맹점은 우리가 자주 가는 곳들입니다.이제 삼성..

● 네일숍·외식업 줄폐업…코로나보다 더한 소비 절벽● 자영업자 연체율 급등…서민은 금융권 이자 폭탄에 신음● 고금리·고물가에 정치 불안까지…서민경제, 사방이 막혔다 ■ “이젠 펌도 사치”…서민들 지갑 닫기 시작했다“주말 예약이 꽉 차던 미용실인데, 요즘은 펌 손님이 없습니다.”서초구에서 미용실을 운영하는 김모 씨의 말은 단순한 푸념이 아니에요.펌·네일아트는 사치, 커트나 염색처럼 ‘어쩔 수 없는 소비’만 남은 현실입니다.실제로 서울의 네일숍은 1년 새 335곳이 문을 닫았고,외식업체 수도 줄어들며 비수기인 겨울을 지나 더 악화됐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요.💬 “코로나 땐 그래도 손님이 있었어요. 지금은 아예 발길이 없네요…” ■ “먹고 사는 게 먼저”…골목식당은 사라진다을지로에서 20년째 식당을 운영해온..

● 美, 스마트폰·반도체·PC 등 ‘상호관세’ 예외 품목 지정● 애플·삼성전자 등 글로벌 전자기업 숨통 트여● 단, 트럼프의 품목별 관세는 여전히 ‘불확실성’ 남아 있어 ■ 美 정부 “스마트폰·반도체, 예외다”미국이 갑자기 브레이크를 걸었습니다.지난 4월 11일(현지 시간),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발표한 내용은 꽤 충격적이었죠.✅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SSD, 장비 포함)✅ 모니터이 품목들에 대해 ‘상호 관세’ 적용을 제외하겠다는 방침을 공식화한 겁니다. ■ 누가 웃고, 누가 식은땀 흘리나?애플, ‘145% 관세 폭탄’ 면했다아이폰 생산의 9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는 애플은이번 면제 발표로 인해 최대 145%까지 오를 수 있었던 가격 인상 압박에서 벗어났습니다.💬 “아이폰 가격 ..